
공작산은 강원도 홍천군 동면과 화촌면의 경계를 이루는 산으로, 울창한 산림과 경관이 수려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산의 형세가 마치 한 마리의 공작이 날개를 펼친 듯한 산세에 암봉과 노송이 어우러져 한 폭의 동양화를 연상케 하는 산입니다. 보물 제745호인 월인석보 제17권과 18권이 보존되어 있는 수타사(壽陀寺)와 수타사에서 노천리에 이르는 20리계곡인 수타계곡이 특히 유명합니다. 공작산은 단순한 등산 명소를 넘어, 오랜 역사와 문화유산을 간직한 곳으로 공작산 자락에는 전통 사찰과 보물급 문화재가 남아 있으며, 이와 관련된 전설과 민담도 전해 내려옵니다. 공작산의 역사적 의미와 주요 문화재를 살펴보겠습니다.역사적 배경 및 주요문화재...공작산은 고려 시대부터 중요한 산지로 여겨졌습니다. 특히 이곳은 불교..

경기도의 소금강-'소요산'...서울에서 44km, 동두천시청에서 동북쪽으로 약 5km의 거리에 있는 소요산은 경치가 뛰어나 경기도의 '소금강'이라 불린다. 소요산은 영국 기준으로는 산 축에도 못 드는 언덕이다. 그렇지만 이 풍수지리의 땅 사람들은 50미터 높이의 독립봉조차도 혈맥이 흐르는 곳이라면서 산 대접을 해주었다. 소요산처럼 바위가 불뚝불뚝 솟은 데는 더 말할 나위가 없다. 게다가 폭포와 탕, 소까지 즐비하니 격을 높여 명산으로 쳤다. 규모는 작으나 상백운대, 하백운대, 중백운대 등 경관이 아름답고, 등산인의 선호도가 높아 "81년 국민관광지로 지정된 점을 고려하여 선정하였으며 원효폭포, 청량폭포, 선녀탕절벽과 가을철 단풍이 유명하고 신라 무열왕 1년(654년)에 원효대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해..

용문산은 유구한 역사와 풍부한 전설을 간직한 산으로,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용문산의 유래와 전설, 그리고 역사적 사건과 문화적 가치를 중점적으로 탐구하며, 산이 지닌 매력을 상세히 풀어봅니다.용문산 역사탐방 (유래, 전설, 문화)...용문산은 경기도 양평군에 위치한 명산으로, 그 이름부터 신비로운 유래와 전설을 품고 있습니다. ‘용문(龍門)’이라는 이름은 문자 그대로 "용의 문"을 의미하며, 이는 산의 생김새가 마치 하늘로 승천하는 용의 모습과 닮았다고 전해집니다. 특히, 용문산에는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를 거치며 여러 전설이 전해져 내려왔는데, 가장 대표적인 이야기는 용이 하늘로 승천한 장소라는 설화입니다.전설에 따르면, 용문산의 이름은 신라 시대에 이 지역을 다스리던 한 장..

명선산은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과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에 걸쳐 있는 산입니다. 일명 '울음산'이라고도 불리는데, 전설에 의하면 궁예가 건국 11년 만에 왕건에게 쫓기어 이곳에 피신하다 1년 후 피살된 곳으로 알려져 있고, 궁예의 말로를 이곳의 산새들이 슬퍼해서 울음산이라고도 불리었다고 합니다. 명선산의 역사적 배경...명선산이라는 이름은 한자로 ‘명(明)’과 ‘선(善)’을 결합한 것으로, ‘밝고 선량한 산’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이름은 산 주변 지역의 고대 문화와 정신적 유산을 반영하고 있습니다.명선산은 삼국시대부터 중요한 산으로 여겨졌으며, 신라와 백제의 접경지로서 전략적 요충지 역할을 하기도 했습니다. 역사 기록에 따르면, 이 산 주변에서 양국의 교역이 이루어졌으며, 당시의 무역로 흔적이 산..

한폭의 산수화-도봉산 ...빛나는 화강암과 어우러져 수려한 경관을 자랑하는 한 폭의 산수화 같은 명산. 도봉산은 지질학적으로는 고생대부터 화강암의 지반이 융기 및 침식되어 형성 되었으며, 지금으로부터 약 2억만년전 한반도의 지각변동사상 가장 격렬했던 중생대 쥬라기 중엽의 대보조산운동에 의해 형성된 대보화강암의 돔형태의 암벽과 암릉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암골이 두드러진 산이라 주릉이 거의 암봉릉이라고 합니다. 사이사이에 진짜 암릉인 포대능선과 칼바위능선도 있지만 대개는 솔숲 사이 암봉을 돌고 도는 시원한 산길입니다. 뾰족뾰족하게 솟은 산봉우리의 아름다움이 빼어난 산으로 “푸른 하늘을 깎아세운 만 길 봉우리”라 읊었던 옛 시인의 표현만큼이나 선인봉, 자운봉, 만장봉, 신선대, 오봉에 이르기까지 모두 거대..

유순한 산세의 계방산...남한에서 한라산, 지리산, 설악산, 덕유산에 이어 다섯 번째로 높은 산으로서 산약초·야생화 등이 많이 서식하고, 희귀수목인 주목·철쭉나무 등이 군락을 이루고 있어 생태계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백두대간을 한 눈에 조망할 수 있으며 겨울철 설경이 백미라겨울철 적설등반 산행지로 유명한 산입다. 계방산은 '계수나무의 향이 나는 산'이라는 뜻으로 이름보다 산이 더 아름답게 느껴지는 산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자동차로 오를 수 있는 고개 중 가장 높은 운두령이 있으며 내린천(內麟川)으로 흐르는 계방천의 발원지입니다. 강원도 홍천군 내면과 평창군 진부면에 걸쳐 있는 광대한 산맥을 거느리고 있으나, 북동쪽으로 연결되어 있는 오대산의 명성에 가려 빛을 보지 못했던 명산입니다. 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