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륜산은 전라남도 해남군에 위치한 명산으로, 풍부한 자연과 더불어 유구한 역사를 간직한 곳입니다. 이곳은 산 전체가 하나의 역사적, 문화적 유산으로 볼 수 있을 만큼 중요한 명소들이 가득합니다. 본 글에서는 두륜산의 유래와 자연환경, 주요 명소의 역사적 배경과 주요 특징들을 살펴보겠습니다.두륜산의 명칭...두륜산은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삼산면·북일면·현산면·옥천면에 걸쳐 있는 높이 700.1m의 산으로, 가련봉을 비롯하여, 두륜봉·고계봉·노승봉·도솔봉·혈망봉·향로봉·연화봉 등의 봉우리로 능선을 이루고 있으며, 기반암은 중생대 미문상 화강암과 중생대 경상계 무등상용암층의 안산암 내지 조립 안산암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두륜산에는 애추와 암괴류가 곳곳에서 관찰되고 있습니다. 원래 두륜산은 대둔..

왜 100대 명산이 되었나?...1000m 이상의 고산준봉을 거느리고 있고 울창한 산림과 바위가 어우러져 있으며, 국내 최대 원시림 계곡인 물한계곡이 있는 점 등을 고려하였으며, 물한계곡은 물이 차다해서 한천이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마을 상류에서부터 약 20㎞를 흐르는 깊은 계곡으로, 원시림 등이 잘 보존된 손꼽히는 생태관광지로 특히 유명합니다. 정상에서 남쪽 50m쯤 아래에는 삼두마애불상이 있고 충북, 전북, 경북의 경계인 삼도봉과 연접 해 있습니다. 민주지산은 추풍령 남서쪽 약 25km 지점에 있으며 산행의 기점은 정상의 동북쪽 방향인 한천마을과 남쪽 아래의 대불리로 크게 나눌 수 있고 삼도봉, 석기봉이 명소이며, 석기봉 동쪽에는 원시숲과 화전민터가 있어 옛 주민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고, 물한리..

백암산 특징.선정이유... 백암산은 경상북도 울진군과 영양군의 경계에 있으며, 드넓은 호남평야를 마주하고 솟아오른 높이 741.2m의 산으로 내장산 국립공원에 속해 있으며, 한국8경 중 하나로 선정된 명승지이기도 합니다. 정상의 바위가 흰색이라 '흰바위산'이라고도 불리웁니다. 옛날부터 봄이면 백양, 가을이면 내장이라 했듯이 산하면 내장, 고적하면 백암이라 할 정도로 백암산의 절경은 내장산에 뒤지지 않습니다. 백학봉과 상왕봉, 사자봉, 등의 기암괴석이 곳곳에 있으며, 산세가 높고 험하며 가파른 편입니다. 특히 이곳에는 대한 불교 조계종 18교구 본산인 대사찰 백양사도 있습니다. 경관이 수려하고 천연기념물인 비자나무와 굴거리나무가 집단분포하고 있으며, 내장산국립공원구역에 포함되어 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

계룡산은 차령산맥 중의 연봉으로, 충청남도 공주시 · 계룡시 · 논산시와 대전광역시에 걸쳐 있는 산이며 차령산맥 중에서도 비교적 험난한 이 산은 유연히 흐르는 금강의 풍치와 어울려 독특한 산악 경관을 이루고 있습니다. 산의 이름은 주봉인 천황봉(846.5m)에서 연천봉(739m) · 삼불봉(775m)으로 이어지는 산봉우리의 능선이 보는 방향에 따라 용의 모습으로도 보이고 닭의 볏 모양으로도 보인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이 밖에도 관음봉(766m) · 막적봉(664m) · 임금봉(553m) · 형제봉(520m) · 장군봉(410m) · 도덕봉(524m) 등 크고 작은 20여 개의 봉우리들이 연봉을 이루고 있다. 풍수지리에서 우리나라 4대 명산으로 꼽힐 뿐 아니라, 관광지로도 상위권을 차지하여 ..

비슬산 군립공원... 비슬산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가창면,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에 걸쳐 있는 산으로 달성군과 청도군의 경계인 높이 1,083.4m의 봉우리로 1986년 2월 22일 달성군 군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흙산이면서도 산세가 장엄하며, 비슬산 능선에는 북쪽의 최고봉인 천왕산에서 남쪽으로 월광봉, 대견봉, 조화봉, 관기봉 등 1,000m 내외의 높은 봉우리가 다수 있으며, 대견봉과 조화봉의 능선과 서사면 일대에는 천연기념물 435호인 비슬산 암괴류를 비롯하여 단애, 애추, 토르, 박리, 다각형 균열 등 화강암 풍화 지형이 잘 발달해 있고, 대견봉과 월광봉 사이의 완경사지인 고위침식면 지형 일대는 진달래나무 군락지가 형성 되어 있어 봄이면 고지 30만 평에 걸쳐 진달래꽃이 흐드러지게 피어..